프로그래밍/파이썬

[파이썬] 튜플 (Tuple)

znvlcm 2021. 6. 15. 14:47

튜플 Tuple

순서O | 중복O | 수정X | 삭제X

쓰임 : 마스터정보, 변경해서는 안 될 중요한 값을 다룰 때

수정과 삭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로직 구현 중 수정과 삭제를 미연에 방지 

 

##선언
a = () =>  ()
b = (10,) =>  (10,) ## !요소가 한 개인 경우에는 반드시 뒤에 쉼표를 붙여주어야 튜플로 인식
e = (10) =>  10
type(b): <class 'tuple'> type(e): <class 'int'>
c = (10, "a", 20) =>  (10, 'a', 20) ## 자료형이 달라도 됨
d = (10, (11, 12, 13), 20)  =>  (10, (11, 12, 13), 20) ## 튜플내 튜플

##인덱싱
범위 벗어난 인덱싱에러 c[7] => IndexError: tuple index out of range
c[2] :  20
c[-1] :  20
d[1][1] :  12

## 삭제 수정 불가
del c[2] => TypeError: 'tuple' object doesn't support item deletion
c[2] = 3 => TypeError: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슬라이싱
d[1:] =>  ((11, 12, 13), 20)
d[2:] =>  (20,) ## !요소가 하나일땐 끝에 ','가 붙는다!
d[1][:2] =>  (11, 12)

## 연산
x =(1,2) =>  (1, 2)
y =(3,4) =>  (3, 4)
x+y =>  (1, 2, 3, 4)
x*3 =>  (1, 2, 1, 2, 1, 2)

## 튜플 함수
z = (20, 30, 70, 50, 60, 70) =>  (20, 30, 70, 50, 60, 70)
3 in z =>  False ## 존재확인함수 boolean
z.index(70) =>  2  ## 지정값의 첫번째 인덱스 반환
z.index(1) =>존재하지 않는 값 에러 ValueError: tuple.index(x): x not in tuple
z.count(1) =>  0  ## 튜플내 지정값의 개수
z.count(20) =>  1  ## 튜플내 지정값의 개수
z.count(70) =>  2  ## 튜플내 지정값의 개수

 

728x90

'프로그래밍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딕셔너리 (Dict)  (0) 2021.06.15
[파이썬] Set 셋  (0) 2021.06.15
[파이썬] 리스트 List  (0) 2021.06.15
[파이썬] 가상환경 설정 및 패키지 설치  (0) 2021.06.14
[파이썬기초] 파이썬설치  (0) 2021.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