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리눅스마스터1급] 표준디렉토리

znvlcm 2021. 4. 28. 20:53

1. 파일시스템 

- 운영체제가 디스트상에 파일들을 구성하는 방식

-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 

- 다양한 형식의 파일 시스템이 존재 

- 리눅스는 전체 파일 시스템을 1개의 트리 구조로 곤리 

따라서 1개의  루트 디렉터리가 있음 

 

윈도우가 파티션이라는 파일시스템마다 루트디렉터리가 있는 것과 대조됨

유닉스에서는 파티션이 있더라도 루트의 하위 디렉토리에 부착되는 형태(마운트)로 형성

리눅스는 모든 하드디스크나 주변장치, 네트워크 소켓, 프로세스도 파일의 형태로 취급

 

2. 저장장치

장치이름 IDE는 이름에 hd를 붙임

            SCSI는 이름에 sd를 붙임

            CD나DVD는 sr0, sr1 

            리코더 sg0 

           etc

물리적 하드 디스크 추가시에는 알파벳순으로 hda hdb... 

파티션은 숫자순서 hda1 , hda2 

 

3. 리눅스 표준 디렉터리

1) 루트 디렉터리 : / 

파일 시스템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디렉터리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최상위 디렉터리 

2) 바이너리 디렉터리 : /bin, /sbin

/bin : 기본적인 명령의 실행파일 ex) ls cat cp

/ sbin : 시스템관리와 관련된 명령의 실행파일 ex) shutdown 

3) 부트 디렉터리 : /boot

커널 이미지와 부트 로더의 설정 파일을 포함 

부팅 관련 설정파일

4)디바이스 디렉터리 : /dev

장치를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파일이 위치

주변장치를 다룰때 드라이버가 필요하고 그를 사용하기 위한 파일들이 위치

5)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터리 : /etc 

시스템의 중요한 환경 설정 파일

매우 중요!  환경설정할 때마다 봐야함 

6)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 : /home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만들어 지는 디렉터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는 해당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디렉터리

7)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lib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시스템 라이브러리 파일이 위치함

/bin, /sbin이 쓰는 시스템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관련됨

8) 미디어 디렉터리 : /media 

이동식 저장장치가 마운트 될때 마운트 지점을 제공

usb등 주변장치 마운트 위치 

9) 시스템 정보 디렉터리 : /proc

커널이 사용하는 가상의 파일 시스템

- 커널의 정보, 기능을 제어 , CPU 메모리 수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

- 메모리에 존재하는 영역

10)루트계정의 디렉터리 : /root

root계정의 홈 디렉터리

일반사용자와 구분됨 

11) 사용자 디렉터리 : /usr

/usr/bin, /usr/sbin : 실행파일 핵심명령이외의 사용자 커맨드는 모두 bin 그외에는 sbin

/ usr/include : 라이브러리 헤더파일 stdio.h 같은 파일

/usr/lib : 실행파일을 위한 사용자 라이브러리 bin, sbin의 명령어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12) 가변자료 저장 디렉터리 : /var

시스템 운영 중에 필요한 가변자료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시스템 작동 로그, 인쇄, 메일

생겼다가 사라지는 일시적인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