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224

자바스크립트와 비동기

보통의 자바스크립트의 동기적 처리 자바스크립트에서 우리가 쓰는 코드들은 보통 한 줄 한 줄씩 읽혀지면서 실행이 된다. const a = 1; const b = () => a+1; const c = () => a+b(); console.log(c()); 라고 하면 c()는 3을 출력한다. c()를 실행을 하면 콜스택에 순서로 함수가 쌓인다. b() c() 스택은 나중에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므로 b()가 먼저 나와서 a+1이 계산되어 2가되고, 이후에 C의 a+b()에 b()의 반환값 2가 a=1과 합쳐서 3이된다. 즉 보통의 코드들은 선행할 함수들이 처리가 완료된 후에 그 값을 이용해 계산이된다. 이 콜스택은 하나의 싱글스레드로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하나의 컨텍스트를 따른다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적 처리..

웹소켓과 HTTP

보충 예정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al 해당 프로토콜은 html전송을 통한 문서간 연결을 위해 도입이 되었다. 최근에는 HTML뿐 아니라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파일, json 등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반 프로토콜는 TCP는 HTTP/1.1 HTTP/2가 있고, UDP는 HTTP/3 이 있다 특징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구조이고,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스테이트리스, 연결이 지속되지 않는 비연결성, HTTP메세지를 통한 통신을 하며 단순하고 확장이 가능하다. https://develope-myself.tistory.com/175?category=943648 [HTTP] HTTP기본개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

[타입스크립트] 함수반환관련자료형

https://www.typescriptlang.org/ko/docs/handbook/intro.html Handbook - The TypeScript Handbook Your first step to learn TypeScript www.typescriptlang.org void, never void와 never 은 보통 함수반환과 관련이 있다. void는 자바와 마찬가지로 어떤 것도 반환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never는 함수끝까지 도달하지 않을 때를 말한다. 특히 어떤 error를 던지는 함수를 부를 때 해당함수가 error이 후 무엇을 반환한들 error가 먼저 터지기 때문에 어떤 것도 돌아올 수 없다. 이 때는 never가 자동으로 추론되어 반환형이 된다. void와 never의 차이점은 vo..

[타입스크립트] 기본자료형에 대해서

기본자료타입 자료형 변수 초기화 타입확인 불리언 boolean const bool :boolean = true typeof(bool) === "boolean"; 숫자 number const num : number = 1 typeof(num) === "number"; 문자열 string const str : string = "str" typeof(str) === "string"; 배열 array const arr:number[] = [1,2,3,4] || const arr : Array = [1,2,3,4], Array.isArray(arr); 튜플 tuple let tuple : [number, string] = [1, "2"]; 열거형 enum enum Color {Red="#FF0000", Green..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상태보다 행동을 먼저 생각할 것

내가 자바를 처음 배울 때 아래와 같이 말씀하시며 객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우리를 선생님은 정말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이셨다. "객체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말해요" .... 오 심오해... 근데 전혀!!!!! 와닿지가 않.... 나는 객체의 정의를 듣고 한달정도 되는 날. 동기들과 술을 마시고, 객체가 뭔지 모르겠다며 객체 학원에 등록해야한다고 했다고 한다. 그 날의 기억은 내 뇌에 남아 있지않고, 지금은 술을 그렇게 마시지 않는다. 다만, 객체가 내게 오기까지 너무 오랜기간 괴로웠다. 근데.... 이 책을 보고 나는 결국 객체지향을 잘못 알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나는 클래스를 수도없이 수정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클래스를 수정하면서 왜 그리 어려웠는지 알았다. 바로 나는..

독서 2022.07.21

[프로그래머의 뇌] 완독 후기

프로그래머의 뇌라는 책을 읽고 보니 내가 프로그래밍을 너무 좁게 보고 있었다. 인터넷이 있어 검색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인터넷에 의존하는 바람에 LTM에 저장되지 못하고 다 휘발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인상깊었다. 객체를 처음 배울 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란 게 이해가 안됐다. 이해가 됐을 때는, 세상에 존재하는 것을 추상화시켜 어떤 시스템을 만들어가는 것이 신기하고, 무언가 창조적인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을 읽고 나니까, 세상의 모든 것 중 필요한 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결국 기존의 것들을 이해하고, 다른 것들을 활용해야 하기에 단순히, 검색해서 써버려선 안되고 언제든 어떤 상황에서든 떠올리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뇌를 채워야한다고 생각했다. LTM 장기기억공간에 사전 지식이 많을 수록 빠르게 코..

728x90